-
혈액 단백질 알부민 — 정상 수치, 낮을 때 원인·개선법건강정보 2025. 5. 9. 08:00728x90반응형
1. 알부민이 뭐예요?
알부민은 혈액 속 단백질의 60% 이상을 차지하며 혈관 속 삼투압을 유지하고, 호르몬·약물 운반을 돕는 다재다능한 단백질입니다.
2. 정상 수치와 검사
- 성인 기준 3.5 – 5.0 g/dL이면 정상입니다.
- 공복 혈액검사로 간단히 확인 ➜ 간 기능 패널(LFT)에 포함
- 검사 전 8시간 금식, 물은 소량 가능
알부민 혈액검사를 위해 채혈 튜브를 준비하는 의료진 3. 알부민이 낮을 때(저알부민혈증) 주요 원인
- 영양 부족 — 단백질·칼로리 섭취 부족
- 간 질환 — 간경변·급성 간염으로 합성 감소
- 신장 질환 — 신증후군·단백뇨로 소실
- 만성 염증·암·화상 등으로 필요량↑ 또는 손실↑
4. 저알부민혈증 증상
- 눈꺼풀·발목 부종, 체중 급증
- 지속적 피로감·근력 저하
- 심하면 복수·호흡곤란 발생
알부민 수치 저하와 발목 부종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5. 알부민이 높을 때(고알부민혈증) 가능 원인
- 탈수 — 수분 부족으로 농도 상승
- 심한 설사·구토 후 체액 손실
- 드물게 고단백 식단·스테로이드 장기 복용
6. 알부민 관리·예방 방법
- 단백질 1.0 – 1.2 g/체중 kg 섭취(살코기·콩·계란·두부)
- 비타민 A·C·B군, 아연이 풍부한 채소·견과류 추가
- 규칙적 근력 운동으로 합성 촉진
- 간·신장 질환자: 정기 검진과 의사 상담 후 식단 조절
닭가슴살, 두부, 채소로 구성된 고단백 균형 식단 7. 자주 묻는 질문(FAQ)
- Q. 단백질 보충제만 먹어도 알부민이 올라가나요?
A. 일시적 도움은 되지만, 간·신장 기능이 좋지 않으면 과부하가 될 수 있어요. 식품 위주 섭취가 안전합니다. - Q. 검사를 자주 해야 하나요?
A. 만성 질환·영양 불균형 위험군은 6개월 – 1년마다 체크를 권장합니다. - Q. 알부민 주사(혈장알부민)로 바로 올릴 수 있나요?
A. 응급·중증(쇼크·대수술) 상황에서만 사용하며, 일반 저알부민에는 식이·원인 치료가 우선입니다.
의사가 알부민 검사 결과 그래프를 보이며 설명하는 모습 728x90반응형광고광고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여행 전 필독! 5월에 급증하는 뎅기열, 증상·예방·백신 총정리 (2) 2025.05.10 두충나무 껍질(두충) — 관절‧혈압에 좋은 한방 약재 총정리 (0) 2025.05.09 봄 나들이 도시락이 위험? 5월에 급증하는 살모넬라 식중독 완전 가이드 (0) 2025.05.08 5월에 급증하는 A형 간염 — 성인이 꼭 챙겨야 할 증상·예방백신·대처법 (1) 2025.05.08 5월에 급증하는 대상포진 — 성인이 꼭 알아야 할 증상·예방·대처법 (3) 2025.05.07